용돌이 유량계의 발전기 및 그 분류 설명
발전기는 또한 용돌이 발생기로 알려져 있으며, 용돌이 유량계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주요 기능은 파이프 흐름장에서 축 방향에 따라 동기적으로 소용돌이를 분리하여 3차원 파이프 흐름을 2차원 소용돌이 흐름으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기능은 검출 요소와 협력하여 검출 요소에 적절한 설치 위치를 제공하고 소용돌이 스트리트 신호를 검출하는 것입니다.
용진류 유량계의 기기 계수, 선형성, 반복성 및 측정 범위와 같은 유량 특성은 모두 발생기의 형상 및 기하학적 매개변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현재까지 용진류 유량계의 발생기를 설계하기 위한 엄격한 이론이나 체계적인 계산 방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양한 용진류 유량계 제품 국내외 제조업체들이 출시한 발전기의 형태와 크기는 여전히 많은 실험에 기반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발전기의 분류는 모양과 구조에 따라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발전기는 어떤 종류로 분류될까요? 현재 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분류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기둥 유형별로, 원통형 기둥, 삼각형 기둥, 사다리꼴 기둥, 직사각형 기둥, T자형 기둥 발전기 등이 있습니다. 둘째, 구조에 따라 단일 발전기와 이중(다중) 발전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단일 발전기의 기본 형태에는 원통형, 삼각형 기둥, 직사각형 기둥 등이 포함됩니다.
와류 유량계의 발전에 따라 몇 가지 복합형 발생체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가지 기본형 발생체를 조합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대량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항저우 이공 기술 유한공사는 주로 삼각기둥형 발생체를 채택한 일련의 와류 유량계를 개발하였습니다. 이 제품들은 독특한 센서 포장 기술과 보호 조치를 갖추고 있어 제품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이론적으로 볼 때 측정 대상 유체가 점성이 있고 흐름 주위를 흐르는 한, 흐름 방향으로 정압 기울기(dp/dx > 0)가 존재하며 유동 분리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유체가 어떤 비류선형 장애물도 지나칠 때 레이놀즈 수(Re)가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면 장애물 뒤쪽에 와류가 형성됩니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와 기하학적 크기를 가진 발생체에서 분리되어 생성된 와류 신호의 세기와 안정성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유량 측정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발생체는 각기 다른 기본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의미에서는 이러한 점이 와류 유량계의 설계 및 개발에 유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