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빈 유량계 구성
터빈 유량계의 작동 원리는 유체가 관축을 따라 흐르며 터빈 블레이드에 충돌할 때, 유량 qv, 유속 V 및 유체 밀도 ρ의 곱에 비례하는 힘이 블레이드에 작용하여 터빈이 회전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터빈이 회전함에 따라 블레이드는 전자석이 발생시키는 자력선을 주기적으로 절단하며 코일 내의 자속을 변화시킵니다.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코일에서는 맥동 전위 신호가 유도되며, 이 맥동 신호의 주파수는 측정된 유체의 유량에 비례합니다. 터빈 트랜스미터에서 출력된 펄스 신호는 프리앰프를 통해 증폭된 후 디스플레이 장비로 입력되어 유량 측정이 가능해집니다.
고정밀 터빈 유량계 선택:
1. 베어링 수명은 유량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최대 유량의 1/3 정도가 이상적인 유량이다. 흔히 사용 가능한 재료로는 탄화텅스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그리고 탄소흑연이 있다. 탄화텅스텐은 가장 높은 정밀도를 제공하며 산업용 제어 시스템에서 표준 부품으로 사용된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탄소흑연은 내식성이 뛰어나 일반적으로 화학 공장에서 선호된다. 2. 유도 프로브는 회전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펄스형 디지털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전자코일의 전압 출력은 사인파 곡선에 근사하며, 펄스 신호의 주파수 범위는 측정된 유량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일반적인 범위는 10:1, 25:1 및 100:1이다.
3. 유량계 본체는 부식 저항성을 위해 가능하면 316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발 방지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폭발 방지 사양도 충족해야 한다.
터빈 유량계의 측정 원리: 측정되는 유체가 터빈 블레이드에 작용하여 터빈이 회전하게 된다. 터빈의 회전 속도는 유량에 따라 달라지며, 즉 유량이 클수록 터빈의 회전 속도가 빨라진다. 이후 자기유도식 변환기가 터빈의 회전 속도를 해당 주파수에 대응하는 전기 펄스로 변환한다. 이 펄스는 프리앰프를 통해 증폭된 후 계수기에서 카운트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다. 순간 유량과 누적 유량은 단위 시간당 펄스 수와 누적 펄스 수를 기반으로 계산할 수 있다. 터빈 유량계 시스템 파라미터는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가? 터빈 유량계는 방폭 설계를 채택하고 오래 지속되는 리튬 배터리를 사용한다. 단일 기능 통합 배터리는 5년 이상의 수명을 가지며, 총 유량, 순간 유량 및 유량의 백분율을 표시할 수 있다. 다기능 디스플레이는 12개월 이상의 배터리 수명을 가진다. 따라서 터빈 유량계 시스템 파라미터는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가?
1. 정비 주기는 일반적으로 6개월입니다. 점검 및 청소 시 측정실 내부 부품, 특히 임펠러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조립 시 유도부와 임펠러의 위치에 특히 주의 깊게 확인하십시오.
2. 필터는 정기적으로 청소해야 합니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내부 유체를 배출하고 센서 양 끝에 먼지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커버를 설치한 후 건조한 장소에 보관해야 합니다. 센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먼지 커버를 설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3. 센서 전송 케이블은 공중에 설치하거나 지하에 매설할 수 있습니다(지하에 매설 시 철관을 사용하십시오). 설치 전에 케이블을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오실로스코프에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한 후, 임펠러에 불어넣거나 수동으로 빠르게 회전시켜 디스플레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십시오. 디스플레이가 나타날 경우에만 센서를 설치하십시오. 디스플레이가 없으면 관련 부품을 점검하고 문제를 해결하십시오.
4. 사용 중에는 측정 대상 액체가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섬유나 입자와 같은 이물질이 없어야 합니다. 센서를 처음 사용할 때는 출구 밸브를 열기 전에 천천히 센서 내부를 액체로 채우십시오. 센서 내에 액체가 없는 상태에서 고속 유체의 충격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